거란 침입과 서경 방어의 역사 (평양, 압록강, 국경지대)
고려와 거란의 충돌은 단순한 국지적 전쟁이 아닌, 동북아시아 국제 질서 속에서 자주권을 지키기 위한 역사적 투쟁이었습니다. 특히 **서경(평양)**과 압록강 국경 지대 는 이 충돌의 중심 무대였습니다. 본문에서는 1~3차에 걸친 거란의 침입과 그에 맞선 고려의 서경 방어 전략, 그리고 국경지대가 가진 지리적·전략적 의미를 중점적으로 살펴봅니다. 서경(평양)의 전략적 위치와 방어의 전초기지 고려의 서경은 현재의 평양 지역으로, 지리적으로는 압록강과 가까운 북방 방어의 요충지 였습니다. 서경은 태조 왕건 이후 행정 중심지이자 정치·군사 요지로 성장했으며, 북방 민족의 침략을 막는 핵심 전진기지 역할을 했습니다. 1차 거란 침입 당시(993년), 서희가 외교 담판을 벌인 장소도 바로 이 북방 전선이었습니다. 그는 거란과의 충돌을 무력 대신 외교로 해결하면서 강동 6주를 획득 해 서경의 방어선을 압록강까지 확장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로써 서경은 후방 도시에서 국경도시로 위상이 격상되었고, 국경 방어 체제의 중심 이 됩니다. 이후 2차(1010년), 3차 침입(1018년)에서도 서경은 거란군이 노렸던 전략적 공격 목표 였습니다. 2차 침입 당시 거란은 개경을 직접 노렸고, 서경은 방어선을 구축하며 주요한 전투가 벌어진 장소 중 하나로 기능했습니다. 당시 문산계·영해계 등 서경을 둘러싼 행정 구역은 전시 방어체계로 재편되어 거란군의 남하를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압록강 일대 전투와 고려의 국경 방어 전략 압록강 일대는 고려와 거란이 직접 충돌한 전장 이었습니다. 강동 6주 확보 이후, 고려는 압록강을 국경선으로 삼고 변방 방어 체제 를 구축합니다. 이 지역은 산악과 강이 교차하는 지형적 특성 덕분에 방어에 유리했으며, 고려는 이를 최대한 활용해 거란의 기병을 방어했습니다. 3차 침입 당시(1018년), 거란은 대규모 병력을 동원해 고려를 침공했으나, **귀주대첩(1019년)**에서 강감찬 장군의 지휘 하에 압록강 인근에서 크게 패배하게 됩니...